[칼럼] “라면 한마디, 민심을 움직이다.”
한국공익신문 한성영 기자 | 지난 6월 10일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던진 한마디가 식품업계를 흔들었다. “라면 한 개에 2천 원 한다던데 진짜야?”라는 발언 이후 라면 제조사들은 즉각 반응했다. 고급 제품 일부를 제외하곤 대부분 2천 원을 넘지 않는다는 설명이 뒤따랐고 소비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여러 브랜드가 가격 인하를 발표했다. 정부 역시 발언 닷새 만에 주요 식품 업계를 소환하며 물가 대응에 나섰다. 라면은 단순한 식품을 넘어 국민의 체감 경기를 대변하는 상징적 품목이다. 편의점에서 학생들이 사 먹는 컵라면 한 개 직장인이 야근 후 끓여 먹는 라면 한 봉지 이들은 생활 물가의 민감한 단위이자 서민의 일상과 밀접한 요소다. 이번 사례는 대통령이 실질적인 생활 물가에 관심을 보일 경우 시장도 즉각 반응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통계청에 따르면 가공 식품 중 소비자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 품목은 라면(18%)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유(12.4%) 빵·떡류(8.4%)보다 도 높은 수치이며 실제로 가공 식품 지출 중 라면이 차지하는 비중은 15.3%에 달한다. 즉 라면 값은 단순한 식품 가격이 아니라 서민의 체감 물가를 대표하는 지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