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전문가 칼럼

[기획 정치칼럼 시리즈] 2026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방선거, 우리가 묻고 따져야 할 것들!

한국공익신문 한성영 기자 |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유권자와 후보자 모두에게 던지는 네 가지 질문!

지방선거는 단순한 정치 이벤트가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사는 동네의 삶을 결정짓는 가장 현실적인 선택의 순간이다. 하지만 선거철이 되면 반복되는 풍경은 여전히 낯익고도 낯설다.

 

공약 없는 문자 폭탄, 준비 없는 출마, 전문성 없는 후보, 그리고 정당의 이름만 믿고 투표하는 유권자들.

 

이 기획 칼럼은 그런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담아 후보자에게는 책임을, 유권자에게는 성찰을 요구하는 네 편의 글로 구성했다.

 

2026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우리는 무엇을 묻고 무엇을 따져야 하는가?

 

① 그래서 왜 날 뽑아야 하는데?
답 없는 문자 폭탄에 지역민은 웁니다. 공천만 받으면 끝이라는 착각, 이제는 멈춰야 할 때

 

후보자들은 “저를 선택해 주세요”라는 문자만 반복한다. 하지만 왜 그들을 선택해야 하는지 어떤 철학과 비전을 갖고 있는지는 설명하지 않는다.

 

지역에 오래 살았다는 이유만으로 대표가 될 수는 없다. 정당의 공천만 받으면 당선이라는 구조 속에서 정치는 지역보다 당을 먼저 바라보게 된다.

 

유권자는 후보자의 이름보다 그가 가진 당위성과 준비를 먼저 물어야 한다.

 

② 선거는 잔치다, 잔칫상은 누가 차리는가?
자금 없는 출마, 민폐인가? 진심인가? 감정이 아닌 책임으로 투표할 때!

 

선거는 민주주의의 꽃이자 국민의 잔치다. 하지만 잔치를 벌이려면 잔칫상이 필요하다. 자금 없이 출마하는 후보는 주변에 민폐를 끼치고 당선 이후에는 정치가 사적 자산 증식의 수단으로 전락할 위험이 있다.

 

유권자 역시 감정이나 분위기에 휩쓸려 투표해서는 안 된다. 후보자의 준비 상태와 책임감을 기준으로 선택해야 한다.

 

③ 스펙 없는 정치, 주민을 우습게 보는가?
전문가가 필요한 시대, 어설픈 후보는 위험하다 “열심히 하겠습니다”만으론 지역을 못 지킨다.

 

정치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해서는 안 된다. 지역의 복잡한 현안을 해결하려면 최소한의 전문성과 자격이 필요하다.

 

신문사 자문, 시민단체 활동, 사회적 경험 등은 후보자의 신뢰를 높이는 자산이다. 단순히 정당 출신이라는 이력만으로는 주민에게 믿음을 줄 수 없다.

 

후보자는 주민보다 한 발짝 앞서 있어야 하며 유권자는 그 준비가 진짜인지 묻고 따져야 한다.

 

④ 정당의 옷만 입으면 끝? 지역정치의 함정!
당색에 가려진 무능, 시민의 눈이 바뀌어야 한다. 지방선거는 사람을 뽑는 자리다.

 

특정 정당의 옷만 입으면 당선된다는 인식은 지역정치를 왜곡시킨다. 후보자들은 지역보다 당의 공천을 먼저 바라보고 정당 중심 정치 속에서 지역의 문제는 뒷전으로 밀린다.

 

유권자는 정당이 아니라 사람을 보고 후보자의 비전과 전문성을 기준으로 선택해야 한다.

 

지방선거는 이념 논쟁이 아니라 우리 동네를 위한 ‘일꾼’을 뽑는 실용적인 과정이다.

 

이 기획 칼럼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유권자와 후보자 모두에게 던지는 질문이다.

 

정치는 누가 하느냐보다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다. 그리고 그 판단은 유권자의 손에 달려 있다. 2026년 6월 3일,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포토 & 영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