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익신문 관리자 기자 | 질병관리청은 유전자변형생물체 및 고위험병원체를 취급하는 기관의 자율적 생물안전 역량 강화를 위해 9월 25일 서울 JK아트컨벤션(서울 영등포구 소재)에서 '2025년 관계기관 합동 기관생물안전위원회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기관생물안전위원회(Institutional Biosafety Committee, IBC)는 생물안전 2등급 이상의 연구시설에서 수행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및 고위험병원체 연구에 대한 심의 및 생물안전관리를 담당하는 기관 내 자체조직으로,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 및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약 800개 기관에서 설치·운영되고 있다.
최근 합성생물학, 유전자 교정 등 바이오 신기술을 활용한 연구·개발이 확대됨에 따라, ▲연구 설계, ▲위해성 평가, ▲실험 수행, ▲사고대응의 전 과정에서 체계적인 생물안전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기관의 생물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데 중심 역할을 하고 있는 기관생물안전위원회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위원회 위원과 생물안전관리자 등이 참석하는 이번 워크숍에서는 생물안전 관련 법·제도는 물론, 고위험병원체와 식물 이용 연구, 병원체의 진단 등 다양한 분야의 실제 생물안전 심의 사례와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기관별 연구 특성과 환경 변화에 맞춘 심의 기준과 운영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참석자들이 위해성 평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모의 심의를 수행하여 심의 절차에 대한 실질적 이해와 적용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실습형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위원회의 심의 기능을 내실화하고자 한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이번 기관생물안전위원회 워크숍은 바이오 신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연구 환경 속에서 위원회가 위해성 평가·심의 역량을 강화하여 기관 생물안전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여, 자율적 생물안전 관리 체계가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스출처 : 질병관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