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전문가 칼럼

[연재칼럼 제4편] ‘내 집 앞 타이어’ 문제도 대통령의 메시지로 바꿀 수 있다.

생활 속 배려와 시민의식, 말에서 시작해 문화로 확산된다.

한국공익신문 한성영 기자 |

 

이면도로에 놓인 타이어 하나는 단순한 물체가 아니다. 그것은 우리 사회가 공유공간을 대하는 태도를 압축한 상징이다.

 

“여긴 내 공간이야”라는 마음과 “불편하더라도 함께 써야지”라는 마음 사이의 균형이 바로 시민의식이고 그 균형이 무너질 때 불편은 곧 불신으로 번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방법은 '말'이다. 강제의 언어가 아닌 존중의 언어. 대통령이 “우리 모두의 집 앞은 모두의 공간입니다.

 

작은 배려가 시민사회의 품격을 만듭니다”라고 말한다면 그 울림은 전국으로 퍼질 수 있다.

 

실제로 라면값 언급이 시장을 움직였고 채무에 대한 언급이 제도를 흔들었다면—타이어 하나를 치우게 하는 울림도 충분히 가능하다.

 

그 말은 불법을 처벌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공유의 미학’을 회복시키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시민은 규율보다 의미에 더 깊게 반응하고 의미는 말을 통해 전달된다.

 

그리고 그 말을 듣고 행동한 사람들이 늘어나면 타이어가 사라지고 골목이 환해진다.

 

‘내 집 앞 타이어’를 치운 그 순간 시민은 ‘공유의 책임자’가 되고 사회는 그들 덕분에 조금 더 품격 있어진다.
<한국언론미디어그룹 한성영 회장>

포토 & 영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