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전문가 칼럼

[연재칼럼 제1편] 대통령의 말은 기준이 된다, 타이어 하나에도 품격을 묻다.

라면값·채무탕감·참사 사과… 말의 힘은 생활을 바꾸는 첫걸음

한국공익신문 한성영 기자 |

 

이면도로는 지역 공동체의 작은 혈관처럼 존재한다. 이 공간은 소유의 대상이 아니라 함께 사용하는 공유 자산이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일상 풍경에서 타이어와 고깔콘은 그 공간을 침범한 이기심의 상징처럼 자리 잡고 있다.

 

이는 단순한 불법적치물이 아니라 우리가 ‘공공’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드러내는 민낯이다.

 

이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법적 단속을 강화하는 건 가장 전통적인 방법일 수 있다. 하지만 사람들의 행동을 진심으로 바꾸고 존중의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강제보다 설득이 필요하다.

 

그 설득의 가장 강력한 도구는 국가 지도자의 언어다. 대통령은 법적 권한을 넘어 ‘기준을 만드는 사람’이다.

 

예를 들어보자. 2025년 대통령의 “라면값이 2천 원이라니 국민들이 놀랍니다”라는 말은 단순한 개인 의견처럼 들렸지만 라면 회사들은 이를 곧바로 정책적 조정 신호로 받아들였다.

 

몇몇 브랜드는 가격을 동결했고 일부 제품은 인하되었다. 국민은 이 메시지를 ‘대표적 생활 언어의 기준 제시’로 받아들였고 이는 시장에 실질적인 반영을 일으켰다.

 

채무 관련 발언도 마찬가지다. “7년 이상 갚지 못한 5천만 원 이하 악성 채무는 정리해줘야 한다”는 언급은 이후 정부의 실제 정책으로 이어졌다.

 

대통령의 말은 ‘법을 만드는 사람’의 언어가 아니라 국민감정을 대변하는 리더로서의 말이었던 것이다.

 

우리는 이미 많은 경험을 했다. 대통령의 한마디가 시장을 움직이고 제도를 흔들고 지역 정책의 방향을 바꾸었다면—그 말은 내 집 앞 타이어 하나를 치우게 만들 수도 있다.

 

“우리 모두의 공간에 대한 존중이 우리의 사회적 품격입니다”라는 말이 전국으로 울려 퍼진다면 시민은 자발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말은 시작이고 행동은 확산이다. 대통령의 말은 삶의 기준이 될 수 있으며 그 기준이 진심이라면 시민은 그에 응답할 것이다.
<한국언론미디어그룹 한성영 회장>

포토 & 영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