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익신문 한성영 기자 |
2025년 9월 25일, 광주 북구에 들어설 복합쇼핑몰 건립을 둘러싸고 지역 상권과의 상생 방안을 논의하는 정책 토론회가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토론회는 사단법인 광주공동체, 광주북구소상공인연합회, 말바우상인회, 복합쇼핑몰 대책위원회, 광주북구골목상권상인연합회가 공동 주최·주관했으며, 사회는 김진열 광주공동체 상임이사가 맡았다.
행사는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광주 북구에서 열렸으며 복합쇼핑몰의 동시다발적 추진이 영세 상인의 생존권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광주시와 지역 상권 간의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열띤 논의의 장이 펼쳐졌다.
이날 토론회에는 조진상 동신대 도시계획학과 명예교수, 민경본 복합쇼핑몰 대책위원장, 박창순 말바우상인회 회장, 양충호 북구골목형상점가상인연합회 회장, 오선신 북구소상공인연합회 회장 등이 패널로 토론회를 이끌었다.
이어 골목형 상점가의 김석기 회장을 비롯해 북동 상점가의 안철환 회장, 말바우 시장 협동조합 이영수 이사장 등 지역 상권 대표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더불어민주당 광주 북구갑 정준호 국회의원실 관계자, 북구의회 최기영, 김영순 의원 등 정치권 인사들과 광주 발전 포럼 안남열 회장, 광주 경제정의 실천 시민연합회 오주섭 사무처장 등 각계각층의 관계자들이 자리를 빛냈다.
또한 정남진 해양도서관 이용기 관장, 경도 풍수지리 연구학회 정장찬 회장, 한국 언론미디어 그룹 한성영 회장, 임우성 박사, 광주북구노인종합복지관 김영옥 관장, 광남일보 최기남 기자, 복지TV 이형석 본부장 등도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다. 이날 토론회는 참석자들의 열띤 호응 속에서 '소상공인 파이팅!'을 외치는 기념 촬영을 진행하며 상생의 의지를 다지기도 했다.
문상필 광주공동체 상임고문의 진행 아래 지역 상권 대표자들과 정치권, 시민단체, 학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토론의 열기를 더했다.
김승재 광주광역시 상인연합회 회장은 축사에서 “복합쇼핑몰 하나는 인정하지만 3~4개를 동시에 추진하는 것은 상인 생존권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라며 광주시의 일방적인 행정 절차를 강하게 비판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오주섭 광주 경제정의 실천 시민연합회 사무처장은 복합쇼핑몰 추진의 배경을 분석하며 “대선 공약에서 시작된 복합쇼핑몰이 민선 8기에서 시민과의 소통 없이 밀어붙여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복합쇼핑몰을 “백화점 10배 규모의 원스톱 상업시설”로 설명하며 지역 상권과의 충돌 가능성을 경고했다.
또한 오 사무처장은 “도시는 기억의 흔적”이라며 전방·일신방직 부지의 개발 과정에서 사라진 지역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안타까워했다. 민선 7기 당시 전문가들과 함께 도시계획을 수립했던 경험을 공유하며 “시장 교체 이후 그림이 요상해졌다”고 비판했다.
‘더 현대’ 복합쇼핑몰 부지와 함께 추진되는 5성급 호텔 건립에 대해서도 법적 안전장치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시민대책위는 동시 착공을 요구했지만 시는 법적 구속력이 부족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오 사무처장은 “사업자는 이익을 위해 움직이며 법적 규제가 없으면 최소한의 노력만 한다”고 경고했다.
광주시가 ‘복합 쇼핑몰 3종 세트’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반면 신세계 측은 “백화점 확장 사업”이라며 복합 쇼핑몰이 아님을 명확히 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됐다.
오 사무처장은 “어등산 사업이 광천 사업의 들러리가 될 수 있다”는 전문가 의견을 인용하며 시의 입장에 의문을 제기했다.
오 사무처장은 오치동에서 피자가게를 운영했던 경험을 공유하며 “광주에서 자영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이 너무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는 “소상공인 상생 대책을 꺼내면 공무원들이 힘들어한다”며 민선 8기 시정의 소통 부재를 비판했다.
‘유통업 상생발전협의회’가 1년간 회의 한 번 없이 방치되고 있으며, ‘복합 쇼핑몰 상생 발전 협의회’ 역시 구성조차 지연되고 있다는 점도 도마에 올랐다.
오 사무처장은 “TF 회의가 2025년 3월부터 시작될 예정이지만, 민선 8기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며 실질적인 논의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광주시가 복합쇼핑몰 개발과 함께 지하철 3호선 연장에 약 7천억 원의 시민 혈세를 투입하려는 계획에 대해서도 우려가 제기됐다. 오 사무처장은 “광주시의 채무 비율이 이미 전국 최악 수준인데 지방채 추가 발행은 재정난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토론회 후반에는 조진상 동신대학교 명예교수가 발제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그는 “도시계획 변경으로 확보한 5천억 원의 공공기여금을 지역 상권 활성화에 사용할 수 있었지만 광주시의 투명성 부족으로 기회를 놓쳤다”고 비판했다. “시민사회가 공개 논의를 요구했지만 시는 ‘비밀’로 일관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토론회는 복합쇼핑몰 건립을 둘러싼 갈등 속에서도 지역 상권과의 상생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참석자들은 “희망과 절망의 갈림길에서 슬기로운 선택이 필요하다”며 향후 실질적인 협의와 시민 참여가 보장된 정책 추진을 촉구했다.